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9

마케팅기능과 마케팅관리 기업에서 마케팅이 구체적으로 실행하는 기본적인 기능에는 환경분석, 마케팅조사, 소비자분석, 제품기획, 유통계획, 촉진 계획 그리고 가격결정 등이 있다. 이들 중 환경분석, 마케팅조사, 소비자분석은 시장세분화를 통한 표적시장의 선택과 제품의 포지셔닝 등의 마케팅전략 수립을 위해 수행되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제품, 촉진, 가격, 유통의 4P's 관련된 계획은 이미 수립된 마케팅전략에 근거하여 이를 실행하기 위해 만들어진다. 마케팅믹스는 표적시장에서 마케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업이 활용하는 마케팅 도구들의 집합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마케팅믹스는 4P's를 가리키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가격계획은 제품가격의 수준과 범위, 가격결정 기법, 판매 조건 등을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제품계획은 제품, 제품.. 2022. 8. 9.
고객중심적 마케팅철학 기업의 입장에 선 경영철학들과는 대조적으로 고객의 입장에 서서 기업과 관련된 여러 가지 활동을 전개해 나가고자 하는 고객 중심적 마케팅 관리철학이 마케팅개념이다. 즉, 기업 목표의 달성이 표적시장에 속한 고객들의 필요와 욕구를 찾아내어 그것을 경쟁자들보다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충족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마케팅개념은 판매개념과 혼동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판매개념이 기존제품의 판매와 촉진 활동의 강화를 통해 매출을 증가시켜 이윤을 남기려는 생각인 데 반해서 마케팅개념은 시장의 고객들이 가진 욕구를 통합된 마케팅활동을 통해 만족시킴으로써 이윤을 창조하려는 생각이라는 점이 다르다. 마케팅개념을 경영철학으로 채택하고 있는 기업에서는 고객을 단순히 상품의 판매 대상으로 보지 않.. 2022. 8. 8.
마케팅 개념의 이해, 기업중심적 마케팅철학 마케팅은 인간의 필요와 욕구에서 시작한다. 인간은 살아가기 위해 음식, 옷, 주택 등이 필요하다. 그뿐만 아니라 인간은 휴식, 교육, 오락 등의 서비스에 대해서도 강한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인간은 많은 경우 기본적인 상품이나 서비스의 특정 형태나 상표에 대해 강한 선호를 가지고 있다. 예컨대 어떤 사람은 배고픔을 해결하기 위해 칼국수를 먹는 것을 좋아하며,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코카콜라를 즐겨 마신다. 한편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바둑이라는 오락을 즐기기도 한다. 인간의 필요는 기본적인 만족의 결핍을 느끼고 있다. 결핍되었다고 느낄 때 그 사람은 필요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같은 필요들은 사회나 마케팅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생리적으로 갖고 있거나 인간의 존재 조건 그 자체에 .. 2022. 8. 8.
소비자 행동의 외적 요소 4. 상황적 요인 상황적 영향이란 특정 시간에 특정 장소에서 일어나는 일시적 상태나 조건을 말하는 것으로 소비에 있어서 상황적 영향은 제품이나 소비자와는 무관하게 일어나는데, 피팅룸 환경이나 선물 구매, 스키를 타러 가는 특별한 여가 활동 상황 등이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영향의 예라고 할 수 있다.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상황 변수로는 구매 시의 물리적 상황을 들 수 있는데, 물리적 상황 변수로는 점포 이미지, 상점 입지, 점포 내 배치, 팝, 향기, 음악, 판매원 등의 다양한 요소들이 있다. 동일 상권 내에서 둘 이상의 경쟁 점포가 존재할 때 고객이 어떤 점포를 선택할 것인가는 고객들의 점포이미지에 의해 결정된다. 소비자에게 지각된 점포의 전반적인 인상을 점포이미지라고 하는데, 점포이미지는 점.. 2022. 8. 5.